조경수첩

단계별 성장전략

1단계 앱개발 및 사용자확보(2024)
2단계 수목매입 및 판매, 탄소원 확보(2026)
3단계 탄소배출권 확보, 수목원 관광수익(2029)
4단계 메타버스, 블럭체인, NFT(2030)

조경수첩은 단계별 성장전략으로 신생기업에서 대기업으로 도약할 것입니다

하나, 조경수첩은 전문가 1만명, 이용자 1만명을 확보하여 2단계로 진출할 것입니다
둘, 조경수첩은 조경나무시장의 35%, 조경공사시장의 1%를 차지하여 3단계 발전의 기틀을 마련할 것입니다
셋, 조경수첩은 탄소원을 조성하고 체험형 수목원을 성공시켜 3단계를 완성할 것입니다
넷, 조경수첩은 메타버스, NFT, 블럭체인을 이용하여 4단계 세계화를 실천할 것입니다

1.사업범위

① 조경전문가 포털 “조경수첩”(APP)
② 건설인을 위한 “1분공사보고”(APP)
③ 일반인을 위한 “나무팔자”(APP)
④ 조경공사(택지개발, 아파트, 체육공원, 어린이놀이터등)
⑤ 조경수 생산 및 납품, 종자, 초화류, 화훼류 도소매업
⑥ 탄소 확보를 위한 탄소원
⑦ 탄소원의 관광지화(체험형 정조대왕파크, 플란다스동물파크등)
⑦ METABUS, NFT, BLOCKCHAIN 기술로 세계화

2.사업배경

○ 외적배경
① 기후위기에 따른 탄소저감대책에서 민간부분 확대 기대
② 농촌의 고령화로 조경수 식재 농업인 증가(휴면밭 증가)
③ 조달청 수목단가 미발표(2021년부터)에 따른 적정 나무 설계가격 산정 필요(조경공사업 관련)

○ 내적배경
① 조경공사현장 공사중 환경적응 수종의 식재 필요성
② 조경수 검수를 위한 시간과 경비 발생에 따른 사회적 비용 증가 (품질보증없음)
③ 수형이 고르지 않아 폐기되는 나무에 대한 활용 방안 필요

3.현황

[조경공사규모 추정]
조경식재면허 :
22년 총공사실적 2조3천억, 나무시장규모 1조6천억

조경시설물면허 :
22년 총공사실적 1조4천억

종합조경 :
22년 총공사실적 2조8천억

합계 : 22년 총공사실적 6조5천억 / 나무시장규모 2조7천억

[식재관련 인구 추정]
전문가그룹(약5만명), 농장주그룹(약3만명), 일반인그룹(약5만명)

총 13만명

4.목표시장

○ 목표시장
– 조경나무시장의 35%(1조원)
– 조경공사수주(조경식재,시설물) 1%(370억)
– 탄소배출권거래 민간영역의 선두주자
– 메타버스, NFT, 블럭체인 기술로 세계화

5.실현방안

○ 실현방안
– 나무판매, 구매의 장이 되는 공간마련(앱, 웹)
– 스마트메이커 앱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구글, 아이폰 동시 개발
– 국립 또는 사립 산지 임대 계약 후 탄소배출상쇄 장소 신청
– 나무구매, 묘목식재, 탄소원 조성 후 나무별 품질 책정 후 판매
– 탄소원 내 관광수입

6.사업화

○ ‘APP’ 사업화
– (1단계)판매자그룹 확보 → (2단계)매수자그룹 확보 → (3단계)자체상생방안 확보 → (4단계)세계화 진출

1단계

2단계

3단계

Scroll to Top